여기에서 JEUS 도메인의 메인 설정 파일인 domain.xml에서 스케줄러에 관련된 태그에 대한 설명을 찾을 수 있다.
XML Schema 파일:
JEUS_HOME/lib/schemas/jeus/jeus-common.xsd
레퍼런스는 다음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XML Schema/XML 트리: XML 설정 파일의 모든 태그 리스트를 정리했다. 각 노드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태그 레퍼런스로 빨리 찾아보기 위해서 각 태그마다 인덱스 번호( 예: (11) )를 붙여 놓았다. 태그 레퍼런스에서는 이 번호 순서로 설명한다.
XML Schema에서 정의한 XML 태그명을 <tag name> 형식으로 표시한다.
XML Schema에서 정의한 Cardinality를 표시한다. “?” = 0개나 1개의 element, “+” = 1개 이상의 element, “*” = 0개 이상의 element, (기호가 없음) = 정확히 1개의 element
몇몇 태그에는 “P” 문자를 붙여 놓았는데, 해당 태그는 성능에 관계되는 태그라는 것을 뜻한다. 이 태그는 설정을 튜닝할 때 사용된다.
Element Reference: 트리에 있는 각 XML 태그를 설명한다.
Dynamic: 동적 설정 반영 가능
Non-Dynamic: 동적 설정 반영 불가능, Dynamic이 설정되지 않은 항목들이 보통 이에 해당 하나 특별히 설명이 있는 경우 이 항목이 표시된다.
Description: 태그에 대한 간단한 설명.
Value Description: 입력하는 값과 타입.
Value Type: 값의 데이터 타입. (예: String)
Value Type Description: 값의 데이터 타입에 대한 설명
Default Value: 해당 XML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값.
Defined Value: 이미 정해져 있는 값.
Example: 해당 XML 태그에 대한 예.
Performance Recommendation: 성능 향상을 위해서 추천하는 값.
Child Elements: 자신의 태그 안에 사용하는 태그.
(780) <scheduler> ?
(781) <enabled> ?
(782) <pooling> ?
(783) <shared>
(784) <reserved-thread-num> ?
(785) <dedicated>
(786) <min> ?
(787) <max> ?
(788) <keep-alive-time> ?
(789) <queue-size> ?
(790) <stuck-thread-handling> ?
(791) <max-stuck-thread-time> ?
(792) <action-on-stuck-thread> ?
(793) <stuck-thread-check-period> ?
(794) <user-warning-class> ?
(795) <job-list> ?
(796) <job> *
(797) <name>
(798) <class-name>
(799) <interval>
(800) <millisecond>
(801) <minutely>
(802) <hourly>
(803) <daily>
(804) <description> ?
(805) <begin-time> ?
(806) <end-time> ?
(807) <count> ?
(780)
<
domain
><
servers
><
server
>
<scheduler>
| |
Description | JEUS Scheduler에 관련된 사항을 설정한다. |
Value Type | schedulerType |
Child Elements |
(782)
(783)
(796)
|
[예 2.1] Scheduler domain.xml 파일 예제
<?xml version="1.0"?> <domain> <servers> <server> <!-- server Scheduler Service --> <scheduler> <enabled>true</enabled> <!-- Scheduler Thread-pool settings --> <pooling> <shared> <reserved-thread-num>5</reserved-thread-num> </shared> </pooling> <!-- Jobs to be executed after booting --> <job-list> <job> <class-name>sample.scheduler.ScheduleJob</class-name> <name>My Task</name> <description> This task runs in every 30 minutes </description> <begin-time>2005-02-01T09:00:00</begin-time> <end-time>2005-02-28T23:59:59</end-time> <interval> <minutely>30</minutely> </interval> <count>-1</count> </job> </job-list> </scheduler> </server> </servers> </do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