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max 5 SP1 Fix#2

본 장에서는 Tmax 5 SP1 Fix#2에 추가된 기능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상세한 설명은 관련 안내서를 참고한다.

1. 추가 기능

다음은 추가된 신규 모듈과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1.1. 신규 모듈 추가

이번 버전에서 추가된 신규 모듈은 다음과 같다.

  • 웹 서비스 게이트웨이 제공

    • Tmax 서비스를 특별한 변경 없이 웹 서비스로 사용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는 웹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 Tuxedo Sync 게이트웨이 제공

    Tuxedo와 Sync 방식으로 양방향 호출이 가능한 기능을 제공한다.

  • Tuxedo Async 게이트웨이 제공

    Tuxedo와 Async 방식으로 양방향 호출이 가능한 기능을 제공한다.

  • Tmax Webadmin

    Tmax의 상태 확인 및 제어를 위해 콘솔 유틸리티인 tmadmin의 기능을 제공한다. Tmax가 도메인에 하위 노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는 대상은 도메인으로 제한하며, WebAdmin에 여러 도메인을 설정할 수 있지만 한 사용자는 하나의 도메인만을 화면에서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 XA 라이브러리 & XA 게이트웨이

    • Tmax 시스템과 연동하여 트랜잭션을 처리하고자 하는 일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Tmax의 XA 라이브러리 제공한다.

    • XA 라이브러리와 XA 게이트웨이를 통해, X/OPEN에서 명시한 표준 XA 를 제공하여 이기종 간 DBMS의 2PC 보장한다.

  • Session Queue 제공

    • 같은 세션으로 묶인 클라이언트와 서비스들 사이에 효율적인 데이터 공유를 위한 세션 데이터 저장소를 제공한다.

    • Tmax 시스템의 각 세션 내에서 데이터를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분산 저장소를 제공한다.

    • 세션에 관계없이 글로벌하게 접근 가능한 GQ(Global Queue)도 제공한다.

1.2. UTIL

  • tmadmin qpurge count 조정 기능 추가

    tmadmin에서 qpurge(qp) 옵션에 [-k Num] 옵션이 추가되었다.

    • 사용법

      qp -v svr2 [-k Num]

      Num은 다음과 같이 설정이 가능하다.

      입력값 설명

      -1

      현재 큐에 대기중인 서비스 요청 중에서 MAXQCOUNT 개수만큼의 요청만 남기고 이후에 들어온 요청들을 purge 시킨다.

      0

      현재 큐에 대기중인 모든 서비스 요청들을 purge 시킨다.

      N (>0)

      처음 들어온 N개의 gcount 요청만 남기고 이후에 들어온 요청들을 purge 시킨다. 이 옵션은 반드시 –v 옵션과 함께 사용해야 한다.

    • 관련 이슈 : IMS 64072

2. 버그패치

이번 버전에서 패치된 내역은 다음과 같다.

2.1. Engine

다음은 엔진의 버그 수정된 내용이다.

  • tmdown -S svrname -i로 종료할 경우 서버가 전부 종료되지 않는 현상 패치

    • STD_DYN이 혼용된 환경에서 tmdown -S svrname -i 옵션으로 서버들을 순차적으로 종료할 때 특이한 서버가 전부 down 되지 않는 현상이 수정되었다.

    • 관련 이슈 : IMS 61787

  • STD_DYN, UCS_DYN 프로세스에 대한 suspend를 수행할 경우 상태 이상 현상 패치

  • tmboot 진행 중에 tmdown하는 경우 down이 완료된 이후에도 서버 프로세스 등록 방지 패치

    • tmboot 진행 중인 상태에서 동시에 tmdown을 실행할 경우에 Tmax가 종료된 이후에도 살아있는 서버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현상을 down 완료 이후 서버 프로세스가 등록되지 않도록 수정하였다.

    • 관련 이슈 : IMS 63647

  • racd에서 sleep으로 인해 tmadmin 처리가 늦어지는 현상 패치

    • 멀티 노드 환경에서 tmadmin 조회(racd를 통한 원격 연결)를 종료한 후 tmadmin을 재실행할 경우 지연 현상이 개선되었다.

    • 관련 이슈 : IMS 64760

  • DYNSVR 트랜잭션의 경우 clh 비정상 종료 현상 패치

    • STD_DYN 타입의 서버에서 tx_begin()으로 트랜잭션을 시작한 다음 tpcall()로 일반 서버를 요청하고, 요청된 서버에서 tpcall()로 일반 서버를 요청하는 경우에 CLH가 비정상 종료되는 현상이 수정되었다.

    • 관련 이슈 : IMS 65387

2.2. UTIL

  • tmadmin API로 svcstat을 조회할 경우 NRDY가 RDY로 보이는 현상 패치

    • 실제로 서비스 상태가 RDY, BLK 이외의 상태에 있을 때 tmadmin API로 조회한 경우 RDY로 보이는 현상이 수정되었다.

    • 관련 이슈 : IMS 42818

2.3. Twagent

  • WebAdmin CRYPTPORT 인식 오류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