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toB 소개
본 장에서는 WebtoB의 구조와 동작,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고, WebtoB를 사용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관리 툴과 환경변수에 대해서 설명한다.
1. 구조와 동작
WebtoB는 기존 웹 서버와는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존 웹 서버들은 대부분 NCSA사의 httpd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는 사용자가 많지 않던 환경에서 사용되던 것으로 사용자의 증가에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WebtoB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우선적으로 고려한 것이 사용자가 계속 증가하는 경우에 대한 대처 방식이었다.
기존의 웹 서버들은 사용자의 Request가 들어오면 1:1 방식으로 연결을 맺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증가하는 경우 결국 서버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그 수만큼 동시에 늘어나야 서비스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증가하면 할수록 서버에 걸리는 부하도 따라서 증가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물론, 사용자가 증가하면 서버에 발생하는 부하가 적을 수는 없다. 더 많은 메모리와 CPU Overhead를 감수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사용자 증가로 인해 서버에 발생하는 부하가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더 많은 하드웨어를 추가로 구입해야 한다면, 이는 적절한 해답이 될 수 없다. 즉, 사용자가 증가해도 서버 자체에서 적절히 대응하여 일정 수준까지는 무리 없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되어야 무한하게 확장하는 웹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지는 절에서 기존의 웹 서버와 WebtoB와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WebtoB의 구조가 웹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이유를 알아본다.
1.1. 기존 웹 서버와의 구조 비교
초기의 웹 서버는 httpd의 구조를 그대로 계승했기 때문에 가장 일반적인 Process per Request 형태를 취하고 있다. 즉, 사용자 Request마다 프로세스가 발생해서 처리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앞에서 언급한 대로 사용자가 증가하면 프로세스도 같이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므로, 사용자 수가 일정 수 이상이 되면 서비스에 많은 무리가 생긴다. 이는 각 시스템마다 프로세스의 수가 한정되어 있고, 프로세스가 증가하면 너무 많은 메모리를 차지하는 등의 Overhead도 함께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새로운 상용 웹 서버들이 등장하면서 급속도로 확장하고 있는 웹 환경에 대처하기 위하여 새로운 구조를 채택하였다. 가장 일반적인 것이 Multi Thread 기술을 이용한 것이다. 이는 프로세스보다 Overhead가 적은 Thread를 사용하여 서비스하는 것으로 기존 프로세스 방식에 비해 월등히 좋은 성능을 나타냈다. Thread는 프로세스 내부에서 여러 개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Overhead도 적고, 차지하는 메모리도 프로세스 방식에 비하여 상당히 적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도 문제를 가지고 있다. Thread 기술이 상당히 우수한 기술임에는 틀림없지만 내부에서 자신들 간의 영역 다툼으로 인하여 DeadLock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특히 안정성에 있어 치명적이다. Thread 구조에서 DeadLock이 발생하면 자체 Thread가 서비스를 수행하지 못함은 물론, 자칫하면 전체 시스템이 다운되어 서비스 불능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는 성능뿐 아니라 안정성도 중요한 요소가 되는 웹 서버에 치명적인 결함이 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2가지 방식은 서로 장단점이 있다. 성능과 안정성 면에서 서로 양극단을 달리고 있다고 보면 될 정도로 차이가 있다. 하지만, 성능과 안정성 모두 웹 서버에게 있어서는 놓쳐서는 안될 아주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둘 중의 하나만 충족되지 않아도 원만한 서비스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TmaxSoft에서는 WebtoB를 개발하면서 성능과 안정성을 모두 충족시키기 위하여 많은 구조를 검토하고 연구하였다. WebtoB에서는 안정성을 위하여 프로세스 구조를 채택함과 동시에 성능을 위해 스레드 구조를 접목하였다. 안정 및 성능을 위해 각 프로세스를 독립적으로 만들지 않고 각각의 특별한 기능을 하는 프로세스를 두어 역할을 분담하고, 특정 프로세스의 경우 특별한 기능을 하는 스레드를 두어 역할 을 분담하였다. 또한 각 프로세스마다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여분의 보조 프로세스를 두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안정성에 치중하였다.
1.2. WebtoB 프로세스 및 스레드
다음은 WebtoB의 주요 프로세스와 스레드에 대한 설명이다.
-
WSM(WebtoB System Manager)
전체적인 WebtoB 시스템의 운용 프로세스로써 시스템의 운영 정보를 관리하고, HTL/HTH 프로세스 및 모든 서버 프로세스들을 관리하는 프로세스이다. WebtoB 시스템을 기동할 때 WSM은 가장 먼저 메모리에 로드되고 시스템이 종료될 때에는 가장 나중에 종료된다.
-
HTL(HTTP Listener)
HTL은 클라이언트와 WebtoB 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Listener 프로세스이다. 클라이언트가 처음 WebtoB에 접속할 때에는 HTL과 연결을 맺어 통신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서비스 요청이 있을 경우 내부적으로 HTH와 연결이 되어 모든 서비스 처리가 이루어진다.
-
HTH(HTTP Handler)
클라이언트 핸들러라고도 하며 실질적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업무 처리 프로세스 사이를 중계하는 프로세스이다. HTH는 서버 프로세스들과의 통신을 통해 모든 실제적인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한다. 즉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을 받아 그에 해당하는 업무를 처리하며 그 결과를 수신하여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되돌려준다. 최대한 락을 잡지 않는 고성능 아키텍처의 스레드 모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스레스별로 아래와 같은 역할을 담당한다.
스레드 타입 설명 ACCESSLOG
HTH1개당 1개만 존재할 수 있는 스레드이며 HTTP(S) 요청 처리 후 accesslog를 기록한다.
WORKER
HTML 요청을 처리하거나 SSL, Compression 등을 처리한다.
SENDFILE
HTML 요청을 블록킹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한다.
-
PHPS(PHP Server)
PHP 요청을 처리하는 PHP 서버 프로세스이다.
-
CGIS(CGI Server)
CGI 요청을 처리하는 CGI 서버 프로세스이다.
-
SSIS(SSI Server)
SSI 요청을 처리하는 SSI 서버 프로세스이다.
2. 특징
WebtoB의 대표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1. 캐싱(Caching)
일반적으로 많은 웹 서버들이 캐싱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대부분 디스크에 대한 캐싱으로서 필요한 데이터들을 다른 머신에서 자신의 머신으로 가져와서 디스크에 저장해 두고, 사용자가 Request를 하면 이를 보내 주는 방법이다. 주로 Proxy라는 개념으로 많이 이용되는 다른 웹 서버도 역시 이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성능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준다.
WebtoB에서의 캐싱은 사용자가 Request를 보내면 WebtoB가 자주 이용되는 리소스들을 선별하여 이를 메모리에 상주시켜 놓는 시스템이다.
현재 웹 서비스를 하고 있는 많은 회사들은 상당히 고가의 장비를 이용한다. 이들은 대부분 막강한 능력의 CPU를 여러 개 탑재하고 있으며, 또한 수십 GB에 이르는 엄청난 양의 메모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 서비스를 시행하게 되면 CPU의 처리 능력에 의해 성능의 제약이 오고,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게 된다. 즉, 대부분의 경우 메모리의 모든 영역을 쓰지는 못하고, CPU의 처리 능력에 의해서 메모리의 70~80% 정도만 이용하는 실정이다.
이에 WebtoB에서 제공하는 메모리 캐싱 기능은 이 여분의 메모리에 자주 이용되는 리소스들을 미리 상주시켜 두어 성능 향상을 돕는다. 보통 디스크에 비해서 메모리가 약 수십 배 가량 처리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이것을 적절히 활용하면 대단히 큰 성능 향상을 가져온다. 또한 저장 용량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어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 이를 줄일 수 있으며, 만약 여분의 메모리가 충분하다면 이 크기를 더 늘일 수 있다.
실제 연구 결과를 보면 사용자 Request의 대부분이 특정한 리소스에 몰려 있게 된다. 따라서 작은 용량의 메모리 캐싱이라 할지라도 이들을 이용하게 되면 엄청난 성능 향상을 보일 수 있게 된다.
2.2. WBAPI
WebtoB는 WBAPI라는 내부 함수를 제공한다. 이는 WebtoB에서만 제공하는 것으로 다양한 용도로 적용될 수 있다. 우선 기존 CGI 프로그램들을 변환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기존 CGI 프로그램은 상당히 비효율적으로 설계되어 있고 구현은 간단하지만 성능 면에서 워낙 문제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가 많은 곳에 적용하기는 힘들었다. 기존 사이트 중 CGI 프로그램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서비스를 하는 중 갑자기 사용자가 늘어나는 경우에는 본래 이용하던 CGI 프로그램으로는 감당하기 힘들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 경우 현재까지의 해결 방법은 CGI 프로그램과 같은 기능을 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완전히 새로 개발하거나 하드웨어를 무한정 늘리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었다.
WebtoB에서는 WBAPI를 제공하여 기존 CGI 프로그램을 WebtoB의 서비스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기존 CGI 프로그램의 단점을 모두 개선한 형태로 현재 많이 이용되는 Servlet이나 기타 다른 스크립트 언어 등과 같은 성능을 제공한다. 이는 또한 WebtoB에서 TP-Monitor의 서비스 루틴을 호출하는 데 이용되기도 한다.
2.3. TP-Monitor Tmax 서비스 호출
브라우저에서 WebtoB로 Tmax 서비스를 호출하게 되면 WebtoB에서 정해진 형태의 Request를 보내게 되는데, 일반적인 형태는 CGI Request와 거의 같다고 보면 된다. 다만 사전에 WebtoB 내에서 특정 Request가 들어오면 Tmax 서비스로 인식한다는 설정만 하면 된다.
예를 들면 WebtoB 내의 "/tmax" 디렉터리에 Tmax 서비스가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여기에 service1이라는 서비스가 존재한다면 브라우저에서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Request를 보내면 된다.
http://www.tmax.co.kr/tmax/service1
2.4. Extension 관리
일반적으로 웹 서버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MIME-Type은 정해져 있다. 이들은 거의 표준화되어서 특정 데이터나 프로그램들이 전송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이에 대한 정의가 웹 서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형을 생성해서 사용하고 싶다면 새로운 MIME-Type을 만들어야 한다. WebtoB에서는 이러한 데이터형을 관리자가 정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의 Extension(확장자)를 임의로 설정이 가능하여 사용자 자신만의 Extension을 생성할 수 있다.
3. 관리 툴
WebtoB는 엔진 프로세스 및 서버 프로세스들을 관리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툴을 제공한다.
관리 툴 | 설명 |
---|---|
wsadmin |
WebtoB 시스템 전체적인 관리를 위해서 사용되는 툴로서 시스템 정보 및 관리자의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다. |
wscfl |
텍스트 기반의 환경 파일을 컴파일해서 바이너리 파일로 변환한다. |
wsuncfl |
컴파일된 바이너리 파일을 텍스트 기반의 환경 파일로 변환한다. |
wsmkpw |
사용자 인증에 관련된 정보들을 암호화해서 특정 파일을 생성한다. |
wsmkppd |
*SSL.PassPhraseDialog 설정 중 "file:<passphrase file path>"로 설정할 때 사용할 passphrase 암호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을 생성한다. |
4. 환경변수
다음은 WebtoB에서 설정하는 환경변수에 대한 설명이다.
환경변수 | 설명 |
---|---|
WEBTOBDIR |
WebtoB가 설치된 디렉터리 정보를 설정한다. (필수 항목) |
WEBTOB_LICENSE |
라이선스 파일명을 변경하는 경우 설정한다. (기본값: license.dat) |
WEBTOB_RAC_PORT |
wsracd가 사용하는 포트 번호를 변경하는 경우 설정한다. (기본값: 3333) |
WEBTOB_PREFER_IPV6 |
IPv6 주소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Y' 혹은 '1’로 설정한다. |
추가적으로 다음의 환경변수에 WebtoB의 Shared library가 위치한 경로인 "${WEBTOBDIR}/lib"를 시스템 라이브러리 경로(System library path)로 추가해야 한다.
환경변수 | 설명 |
---|---|
LD_LIBRARY_PATH |
Linux 및 UNIX 계열의 일반적인 시스템 라이브러리 경로이다. |
LD_LIBRARY_PATH_64 |
Solaris(SunOS)에서 64-bit WebtoB를 사용할 때 적용되는 시스템 라이브러리 경로이다. |
SHLIB_PATH |
HP-UX에서 32-bit WebtoB를 사용할 때 적용되는 시스템 라이브러리 경로이다. |
5. 디렉터리 구성
WebtoB 시스템이 사용하는 디렉터리 구성은 다음과 같다.
WebtoB |-- bin |-- lib |-- usrinc |-- ap |-- config |-- path |-- log |-- docs |-- license
- bin
-
실행 파일들이 위치한다. (wsm, wscfl, wsracd, wsgst, wsboot, wsdown, etc)
- lib
-
라이브러리 파일이 위치한다.
- usrinc
-
API 함수들의 Header 파일이 위치한다.
- ap
-
사용자 프로그램이 위치한다.
- config
-
WebtoB 환경 파일이 위치한다.
- path
-
프로세스 내부 통신을 위한 Named Pipe가 생성된다.
- log
-
로그 파일들이 위치한다.
- docs
-
WebtoB에서 기본적으로 등록되는 HTML 문서가 위치한다.
- license
-
WebtoB 라이선스 파일이 위치한다.
6. 라이선스별 지원 기능
WebtoB는 라이선스 타입별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라이선스 타입 | 설명 |
---|---|
TRIAL |
Installer로 설치한 WebtoB에는 기본적으로 트라이얼 라이선스(Trial License)가 내장되어 있다. HTH는 1개로 제한되고, Max user 수가 5개로 제한된다. |
BASE |
JEUS의 내장 WebtoB로 사용되는 경우이다. HTH가 1개로 제한된다. UNIX/Linux 환경에서는 도메인 소켓(named pipe)을 통해서만 JEUS와 연동할 수 있기 때문에 JSVPort를 사용하지 않는다. |
STANDARD |
BASE와 달리 HTH가 1개 이상 지원되는 일반적인 경우이다. JEUS와도 자유롭게 연동할 수 있으며 WebtoB가 제공하는 대부분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ENTERPRISE |
STANDARD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 이외에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