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Admin 시작하기

본 장에서는 WebAdmin의 기본 기능과 공통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로그인

WebAdmin 접속 후 로그인 화면에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여 로그인한다.

figure login
WebAdmin 로그인 화면

로그인에 성공하면 WebAdmin 메인 화면이 나타난다.

figure home
WebAdmin 메인 화면

2. 화면 구성

다음은 WebAdmin 화면의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이다.

figure main composition
WebAdmin 메인 화면 구성
  • ① 로고 영역

    JEUS 로고와 라이선스 정보를 보여준다. 로고를 클릭하면 메인 화면으로 이동한다.

  • ② 헤더 영역

    현재 페이지의 제목과 위치 경로를 표시하고, 도움말 보기, 콘솔 툴, 매뉴얼, 사용자 정보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 ③ 메뉴 영역

    JEUS의 주요 설정 항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최상위 메뉴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메뉴 설명

    Domain

    JEUS의 최대 관리 단위인 도메인을 설정하는 화면으로 이동한다. 메뉴의 설정 항목과 그에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JEUS Domain 안내서를 참고한다.

    Nodes

    서버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노드의 설정 화면으로 이동한다.

    Session Clusters

    도메인 내 세션 클러스터를 설정하는 화면으로 이동한다. 메뉴의 설정 항목과 그에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JEUS Session Server 안내서를 참고한다.

    Clusters

    도메인 내에서 클러스터를 구성할 경우 클러스터에 대한 설정 화면으로 이동한다. 메뉴의 설정 항목과 그에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JEUS Domain 안내서를 참고한다.

    Servers

    도메인 내의 서버를 설정하는 화면으로 이동한다. 메뉴의 설정 항목과 그에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JEUS Server 안내서를 참고한다.

    Applications

    도메인 내에서 사용될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deploy하는 화면으로 이동한다. 메뉴의 설정 항목과 그에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JEUS Application & Deployment 안내서를 참고한다.

    Security

    JEUS의 Security와 관련된 사항들을 설정하는 화면으로 이동한다. JEUS Security 안내서를 참고한다.

    Resources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리소스들을 설정하는 화면으로 이동한다.

    Monitoring

    서버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리소스를 모니터링하는 화면으로 이동한다.

  • ④ 메인 영역

    설정 편집, 생성, 삭제 등 각종 설정을 관리하는 영역이다.

  • ⑤ 상태 영역

    현재 도메인 이름, JEUS 버전, 서버 상태 및 상태별 서버 수를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서버 상태에 마우스를 올리면 해당 서버 목록이 팝오버 형태로 표시되며 서버 이름을 클릭하면 해당 서버의 설정 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은 서버의 상태에 대한 설명이다.

    상태 설명

    FAILED

    Master Server(MASTER)의 판단에 의해 Managed Server(MS)와 일정 시간동안 계속 연결되지 않아 해당 MS의 비정상 종료를 확신한 상태이다.

    FAILURE_SUSPECTED

    MS와 연결되지 않아 해당 MS의 비정상 종료를 의심하는 상태이다.

    STANDBY

    시작 중에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을 distribute하던 중 실패한 것이 있어 RUNNING 상태로 이동하지 못하고 머무르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문제의 모듈을 수정하여 다시 시작을 하거나, 그 모듈을 무시하고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start -force를 수행한다.

    RUNNING

    서버 시작이 완료되어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이다.

    SHUTDOWN

    시작되지 않은 상태 또는 정상 종료된 상태이다.

    SHUTTING_DOWN

    서버가 종료 중인 상태이다.

    SUSPENDED

    관리자가 의도적으로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정지하도록 Suspend를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새롭게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고 싶은 경우에도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distribute만 할 수 있고 시작할 수는 없는 상태이다.

    RESUMING

    SUSPENDED 상태로 정지된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재개하기 위해 Resume 을 수행 중인 상태이다.

    STARTING

    서버를 시작하는 중으로 아직 서비스를 수행할 수 없는 상태이다.

    SUSPENDING

    RUNNING 상태의 모든 deploy된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중단하기 위해 Suspend를 수행 중인 상태이다.

    Other

    FAILURE_SUSPECTED, SHUTTING_DOWN, RESUMING, STARTING, SUSPENDING의 상태는 Other로 표시한다.

3. 공통 기능

3.1. 도움말 보기

헤더 영역 오른쪽에 있는 [도움말 보기] 스위치 버튼을 'ON’으로 설정하면 각 도메인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명이 화면에 표시되고, 'OFF’로 설정하면 설명이 표시되지 않는다.

단, 'OFF’로 설정 시 각 설정 항목 오른쪽에 아이콘이 표시되고, 아이콘에 마우스를 올리면 도움말이 툴팁으로 표시된다.

figure description

3.2. 콘솔 툴

WebAdmin은 JEUS 명령어 콘솔 툴을 제공한다.

콘솔 툴에서 'repeat', 'interval', 'history', 'connect' 등 jeusadmin의 고유 기능과 로컬 명령어는 지원하지 않는다.

각 명령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JEUS Reference 안내서의 jeusadmin을 참고한다.

헤더 영역 오른쪽에 있는 image([Console Command]) 아이콘을 클릭하면 Console 창이 화면 하단에 열린다.

콘솔 입력창을 클릭하면 최근 사용한 명령어가 최대 5개까지 표시되며, 명령어를 클릭하면 해당 명령어가 입력된다.

figure console dialog

3.3. 기능 버튼

WebAdmin은 리소스 관리를 위해 다양한 기능 버튼을 제공한다.

  • 서버 및 클러스터

    서버 및 클러스터를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는 기능 버튼은 다음과 같다.

    figure server cluster button
    버튼 설명

    기동

    서버 및 클러스터를 기동한다.

    종료

    서버 및 클러스터를 종료한다.

    재개

    일시 중지된 서버 또는 클러스터의 동작을 다시 기동한다.

    일시 중지

    실행 중인 서버 또는 클러스터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중지한다.

    복제

    서버의 설정을 복제하여 새 서버를 생성한다. 서버 한정으로 동작하며 편집 모드에서만 가능하다.

  •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는 기능 버튼은 다음과 같다.

    figure application control
    버튼 설명

    설치

    애플리케이션을 새로 설치한다.

    직접 배포

    Master Server와 같은 머신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 절대 경로를 설정하여 서버에 직접 배포한다.

    삭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한다.

    배포

    애플리케이션을 서버에 배포한다.

    배포 해제

    배포된 애플리케이션을 서버에서 해제한다.

    실행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중단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중단한다.

3.4. 편집 모드

WebAdmin은 편집 모드와 읽기 모드를 제공한다.

읽기 모드에서는 설정 정보를 확인만 할 수 있으며, 제어할 수 없는 기능의 버튼은 모두 비활성화된다.

편집 모드에서는 설정 정보를 수정할 수 있으며,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figure webadmin editmode
편집 모드 전환
  • ① Lock & Edit 상태

    메뉴 영역 하단의 [편집] 버튼을 클릭하면 Lock & Edit 상태로 전환된다. Lock & Edit 상태는 화면을 이동해도 계속 편집 모드가 유지된다.

    설정 변경 후 하단의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변경 사항이 임시 저장되고, [되돌리기] 버튼을 클릭하면 변경 사항이 취소된다.

    figure webadmin lock temporary save
    Lock & Edit 상태에서 임시 저장

    편집 완료 후 메뉴 영역 하단의 버튼들을 통해 변경 사항을 되돌리거나 서버에 적용할 수 있다. 서버에 적용 시 Description에 해당 변경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면 History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figure webadmin editmode apply
    Lock & Edit 상태에서 서버에 적용
  • ② Auto Lock 상태

    헤더 영역의 image 아이콘을 클릭하면 Auto Lock 상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스위치가 표시된다.

    Auto Lock 상태는 Lock & Edit 편집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만 활성화할 수 있다. Auto Lock 상태를 활성화하면 특정 화면 진입 시 [편집] 버튼이 표시되며,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화면에서만 설정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 상태가 된다.

    figure webadmin editmode autolock
    Auto Lock 상태에서 편집 모드 진입

    편집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설정이 즉시 서버에 적용된다. 서버에 적용 시 History 화면에서 확인은 불가능하다.

3.5. Lock 가져오기

Lock은 세션이 아닌 사용자별로 구분되고, Lock을 가진 사용자만 설정을 변경하거나 취소할 수 있다.

메뉴 영역 하단의 [편집] 버튼을 클릭하면 'Lock & Edit' 상태로 전환되고, [서버에 적용] 버튼을 클릭해서 서버에 반영하거나, [모든 변경 사항 되돌리기] 버튼을 클릭해서 설정 변경을 취소하지 않는 한 'Lock & Edit' 상태는 계속 유지된다.

Lock은 임의로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특정 사용자가 Lock을 얻고 취소를 하지 않는 경우 다른 사용자는 수정 작업을 진행할 수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른 사용자가 강제로 Lock을 가져오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 사용자가 'Lock & Edit' 상태일 때 다른 사용자가 [편집] 버튼을 클릭하면 '동시 편집 불가'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때 [Lock 강제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강제로 Lock을 가져와 편집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 사용자가 편집 중이던 내용은 취소되지만, 이미 서버에 적용된 내용은 그대로 유지된다.

figure webadmin editmode force lock
Lock & Edit 상태에서 Lock 강제 설정

4. 기본 기능

4.1. 설정 추가

편집 모드에서는 설정 목록 테이블 상단의 [추가] 버튼을 통해 설정을 추가할 수 있다.

  • Nodes 화면에서는 읽기/편집 모드와 상관없이 항상 설정 추가가 가능하다.

  • Security 화면의 Security Domain은 Lock을 잡지 않은 상태에서도 설정 추가가 가능하다.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추가' 대화상자가 열린다. 필요한 설정을 입력한 후 하단의 [추가] 버튼을 누르면 설정이 추가된다.

설정 항목은 기본 설정 항목과 자주 사용하지 않는 항목을 모은 고급 선택사항으로 구성된다. 고급 선택사항 텍스트를 클릭하여 항목을 접거나 펼칠 수 있다.

설정 항목 중 image 아이콘이 표시된 항목은 필수 설정 항목이고, image 아이콘이 표시된 항목은 동적 반영이 가능한 항목이다.

동적 반영 항목: 설정 수정 후 서버를 다시 시작하지 않아도 반영되는 항목

figure add node
설정 추가 예시 - 노드 추가

4.2. 설정 조회

'읽기 모드’에서는 설정 정보를 확인만 할 수 있으며, 제어할 수 없는 기능의 버튼은 모두 비활성화된다.

figure main
설정 조회 예시 - 도메인

4.3. 설정 편집

편집 모드에서는 설정을 편집할 수 있다. 단, 편집 모드에 따라 동작 방식이 다르다.

제어 가능한 기능은 리소스 및 모드에 따라 다르며, 이는 JEUS Legacy의 동작 방식에 따른다. 해당 내용은 본 안내서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 Auto Lock 상태

    항목을 수정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변경 내용이 서버에 적용되며, [취소] 버튼을 클릭하면 다시 'Auto Lock' 상태로 전환된다.

  • Lock & Edit 상태

    항목을 수정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고, 메뉴 영역 하단의 [서버에 적용] 버튼을 클릭해야 변경 내용이 서버에 적용된다.

    [되돌리기]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의 수정 사항이 취소되고, 메뉴 영역 하단의 [모든 변경 사항 되돌리기] 버튼을 클릭하면 모든 페이지의 수정 사항이 취소되며 다시 '읽기 모드’로 전환된다.

figure config edit mode
설정 편집 예시 - 도메인

4.4. 설정 삭제

편집 모드에서는 설정 목록 테이블 상단의 [삭제] 버튼을 통해 설정을 삭제할 수 있다.

  • Nodes 화면에서는 읽기/편집 모드와 상관없이 항상 설정 삭제가 가능하다.

  • Security 화면의 Security Domain은 Lock을 잡지 않은 상태에서도 설정 삭제가 가능하다.

테이블에서 삭제할 설정을 선택한 후 [삭제] 버튼을 클릭하면 '삭제' 대화상자가 열린다. 이때 [삭제] 버튼을 클릭하면 설정이 삭제된다.

figure delete node
설정 삭제 예시 - 노드 삭제

4.5. 설정 변경 이력 조회

[Domain] > [History] 메뉴에서는 설정 변경 이력을 조회할 수 있다. 단, Lock & Edit 상태에서 변경한 내용만 화면에 표시된다.

설정 변경 이력 조회 시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figure webadmin history main
History 화면
  • ① 변경 내용 확인 기능

    Updated 항목에서 날짜 정보 왼쪽의 [>] 아이콘을 클릭하면 변경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설정 변경 후 서버 적용 시 Description을 추가한 경우 해당 설명이 Description 항목에 표시된다.

  • ② 복원 기능

    [복원] 버튼을 클릭하면 '파일 전체 보기' 대화상자가 열린다.

    figure webadmin history restore

    이때 오른쪽 상단의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XML 파일이 다운로드되고, [복원]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설정 적용 전으로 복원된다.

  • ③ 도메인 파일 업로드 기능

    직접 도메인 파일(XML)을 업로드하여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단, '편집 모드’에서만 버튼이 활성화된다.

    figure webadmin history upload domain

버전이 다르거나 지원하지 않는 태그가 포함되는 등 형식이 맞지 않은 XML 파일을 업로드하면 오류가 발생한다.